200여 개의 가상 자산 산업 카테고리를 포함하여 "다양한 포트폴리오로 투자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시장의 명확함과 효율성을 높이면서... 섹터와 전략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인덱스를 제공합니다.
주식 시장에서 산업군 구분은 효과적인 투자의 출발점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산업군별 분류 덕분에 투자자는 다양한 부문으로 자금을 배분하여 위험을 줄일 수 있고, 개별 주식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질 경우 해당 산업의 평균 성과와 대조적으로 검토 가능하다.
SK하이닉스의 주식 시장 투자를 검토 중이라면 동일 업계 내 기업인 삼성전자의 성적이나 반도체 업계 전체의 평균치를 참고하는 것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반도체 한 가지 업종에 집중하기 보다는 다양한 섹터로 자금을 배분하여 리스크를 낮추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예컨대 AI나 생명과학 등의 다른 영역에도 관심을 가져보세요.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산업군 구분도 가능합니다. Upbit은 2018년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가운데 처음으로 가상자산 분류 체계(UBCS)를 도입하여 투자자의 기본 정보 소스로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렌더토큰(RNDR)에 투자하려면 AI와 유사하게 작동하는 오션프로토콜(OCEAN), 뉴메레르(NMR)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IoT(사물인터넷), 스토리지 등의 다른 범주와도 대조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투자자가 어떤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자산을 구매하고자 할 때, 업비트의 가상화폐 분류 시스템을 활용하여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업비트는 지난 6월 신속하게 변동하는 암호화폐 시장을 따라잡기 위해 분류체계를 크게 손보았다. 이용자 관점에서 접근하여 더 이용하기 쉬운 방식으로 재구성하였고, 이로써 업비트가 지원하는 200종이 넘는 모든 암호화폐를 정리한 점이 눈에 띈다.
분류 시스템은 주요 세 단계로 구분되며 이는 대분류(5가지), 중분류(15가지), 그리고 소분류(31가지)입니다. 대분류에는 ▲기반시설, ▲스마트 계약 플랫폼, ▲디파이(DeFi), ▲문화 및 엔터테인먼트, ▲밈(Meme) 등이 포함됩니다. 예컨대, 칠리즈(CHZ)의 경우 대분류에서는 '문화와 엔터테인먼트' 부문이며, 중분류에서 보면 '팬 토큰', 그리고 소분류에서는 '스포츠' 분야에 해당합니다.
다양한 소스의 정보를 사용하여 두나무는 분류 정확성을 증가시켰습니다. 각각의 프로젝트 백서, 그리고 해당 프로젝트 또는 재단의 홈페이지 및 공식 블로그를 주요 자료로 활용하였고, 또한 믿을 만한 조사기관으로부터 수집된 포털 사이트의 키워드 검색 횟수와 매월 활성 이용자 수(MAU) 등의 시장 관련 지표들도 이용했습니다.
업비트는 새로운 분류 시스템 도입과 동시에 이 기반의 '업비트 섹터지수(Upbit Sector Index)'를 론칭했습니다. 이러한 섹터 지수는 이용자의 주요 용도에 따라서 암호화폐들을 그룹핑하고, 동일한 용도를 갖춘 암호화폐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투자자가 업비트 섹터지수를 활용하면 비슷한 용도로 쓰이는 암호화폐들을 손쉽게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떤 섹션이 오르거나 내리는지를 보고 수익률도 추적 가능합니다. 이 분류체계는 주간 모니터링을 거쳐 매 달 조정되고, 시장 변화에 따라 겨우마다 수정됩니다. 특정 암호화폐가 포함되거나 제외되는 것은 월 단위로 이루어집니다. 더불어 업비트에서는 다른 여러 가지 인덱스들도 발표하는데, 그 예시로는 테마인덱스, 전략인덱스, 마켓 인덱스 그리고 Fear & Greed 지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정보들은 UBCI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김대현 두나무 최고데이터책임자(CDO)는 "기존 금융 시장과 마찬가지로 가상 자산 시장에서도 시장을 더욱 투명하고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정확한 가치평가와 청사진을 수립하고 적절히 분류해야 한다"면서 "업비트의 가상 자산 분류 방식이 투자자가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위험을 더 잘 관리하는데 기여하길 바란다"라고 밝혔습니다.
생활경제부
ⓒ스포츠경향( https://sports.khan.co.kr ), 무단으로 내용을 옮기거나 배포하는 것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