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관광특구, 월미도

코로나 끝나도 적막, 이유는?

관광객 감소, 재생 대책 시급

“이렇게까지 될 줄은 몰랐어요.” 20년 넘게 식당을 운영해 온 박모 씨(58)는 한숨을 내쉬었다. “예전엔 주말마다 문전성시를 이뤘죠. 그런데 이제는 하루 종일 손님이 한 명도 안 올 때도 있어요.” 한때 수도권 최고의 관광 명소로 손꼽히던 인천 월미도가 이제는 텅 비어 있다.

과거 놀이기구의 불빛과 들뜬 사람들의 함성으로 가득했던 거리는 을씨년스러운 침묵 속에 갇혀 있다. 디스코팡팡에서 흘러나오던 경쾌한 DJ 멘트도, 바닷바람을 맞으며 여유를 즐기던 관광객들의 웃음소리도 더 이상 들리지 않는다. 월미도를 찾은 김 씨(23)는 “바다도 보고, 놀이기구 타러 친구들과 함께 놀러 왔는데 사람이 없어서 깜짝 놀랐다”라며 “전국적으로 유명한 관광지인 월미도가 이런 모습이라는 것을 생각도 못 했다”라고 말했다.

지금은 쇠락한 모습이지만, 월미도는 한때 수도권에서 가장 핫한 관광지였다. 놀이기구 테마파크와 차이나타운, 개항장을 아우르는 관광특구로 지정되었고, 서울 근교에서 가볍게 방문할 수 있는 곳이었기에 매년 수십만 명의 관광객이 몰려들었다.

특히 ‘디스코팡팡’과 같은 유명 놀이기구는 월미도의 상징과도 같았다. DJ의 재치 있는 멘트와 함께 춤을 추듯 흔들리는 기구를 타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관광객들이 몰려왔다. 차이나타운과 개항장도 인기였다. 짜장면 거리에서 전통 짜장면을 맛보는 것은 필수 코스였고, 개항기 건축물이 늘어선 거리에서는 근대 역사 체험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기 덕분에 2019년 개통된 ‘월미바다열차’도 큰 기대를 받았다. 월미도의 주요 관광지를 순환하는 모노레일로, 바다를 보며 이동할 수 있는 새로운 관광 콘텐츠였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운영 초기부터 문제점이 지적되며 기대했던 관광 활성화 효과를 보지 못했다.

월미도의 몰락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그 변화의 시작점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었다.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거리두기 조치가 이어지면서 관광객이 급감했다. 놀이기구 운영이 중단되고, 상가들이 하나둘 폐업하면서 거리는 점점 텅 비기 시작했다. 문제는 코로나19가 끝난 후에도 관광객이 돌아오지 않았다는 점이다.

월미도는 놀이기구 중심의 관광지였지만, 최근 젊은 층의 트렌드는 바뀌었다. 제주도 감성 카페, 강원도의 조용한 바다 마을, 한적한 한옥스테이 같은 곳이 인기를 끌면서 놀이기구 중심의 관광지는 점점 외면받았다. 한때 ‘핫플’이었던 월미도는 인스타그램 시대가 도래하면서 경쟁력을 잃었다. 감성적인 카페, 독특한 포토존, 트렌디한 맛집이 거의 없어 젊은 세대들의 발길이 점점 줄어들었다.

월미도는 2001년 관광특구로 지정된 이후 약 20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관광객들의 기대치는 높아졌지만, 월미도는 큰 변화 없이 기존의 시설과 콘텐츠만을 유지해 왔다. 일대 건물 4천644개 중 20년 이상 지난 노후 건축물이 3천499개(75.3%)에 이른다. 즉 더 낡은 건물들이 전체의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새로 소개되는 관광 관련 컨텐츠 또한 충분하지 않습니다.

인천시는 월미도 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목표로 지난 20년간 약 2,580억 원을 투자해 왔다. 월미바다열차 개통과 함께 개항장 활성화 사업 및 문화거리 조성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예상된 관광객 증가는 저조했습니다. 지금 월미도 지역의 경제 구역은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월미관광특구의 연평균 방문자수는 2018년의 약 33만 명보다 80% 가까이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매출 또한 3천 억원 규모에서 2천 억원으로 축소되었다.

인천시에서는 관광 산업 발전을 위해 다양한 신규 계획들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에는 차이나타운을 '주제별 거리'로 재편하거나, 개항장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문화 체험이 가능한 장소를 만드는 방법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보기에 트랜드에 부합하는 콘텐츠 제작이 필수로 느껴진다. 옛날에는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명소였던 월미도. 이제는 이 장소가 옛 영화를 재현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두고 볼 만하다. 방문객들의 발걸음이 줄어든 길은 아직 고요하나, 이것이 새로운 인기 스팟으로 돌아올 가능성에 대해 주목해보자.

실시간 인기기사

  • "또 다른 새론김이 등장한다" 해외 매체들이 바라본 K-연예계의 모습, 실제 상황은...
  • 현재 누구에게 도움을 주려고 하며, 정부는 증가하고 있는 계좌에서 이러한 카드를 끄집어냈습니다.
  • "87일 동안 재직하며…" 탄핵이 기각된 한덕수 대행의 마지막 메시지
 
Top